나의 산행일지

고대산 설화산행 (2009년 12 월 27 일 일요일))

장군601 2012. 6. 14. 16:49

 

 

 

 

                                                               고  대  산

                                                                                                                                                   사진       사진 작가  세정씨

                                                                                                                                                                                                                         대순

 

                                                                                                 시 : 2009. 12. 27. 일요일산행 코스 : 매표소-3등산로-표범폭포-고대산-대광봉-칼바위-말등바위- 2등산로-매표소(입장료 1,000원)                     

 

   ☞ 산  행  지 : 고 대 산(832m) / 경기도 연천군 대광리

 

 

   ☞ 만남장소시간 : 아래 1호선 전철시간에 맞추어 탑승 맨뒷칸에서 만남.

 

                                ☞ 교  통  편 : 구로역 07:11분, 신도림역 07:13분, 종로3가 07:37

                                동대문 07:41분, 청량리역지하 07:44분, 의정부역 08:19  

                              * 일요일 동두천행 전철 배차 간격이 길어 부득히

                                이시간 열차로 결정 하였슴.(다음열차1시간 57분후있슴)

                               * 동두천역에서 통근열차로(통일열차) 갈아 타고 신탄리역 하차

                               (왕복 운임 2,000원 / 소요시간 40분)

 

  

   

☞ 산행 시간 : 약 4시간 30분.

           **** 설화 만발한 산행을 기대해 봅니다********

 

 

한국전쟁 당시 최고의 격전지, 백마고지

   . 백마고지 전투는 한국전쟁 기간중 치열하게 고지쟁탈전을 전개했던 1952년 10월, 철원에 위치한 작은 고지를 놓고 국군 제9보병 사단과 중곡군 제38군 3개사단이 쟁탈전을 벌인끝에 9사단이 승리한 전투를 말한다. 1952년 10월 6일부터 15일까지 10일 동안 불과 365m밖에 되지 않는 고지를 빼앗기 위해 한국군 보병 9사단은 3428명의 사상자를, 중공군은 사망 8234명, 포로 5097명, 귀순 57명의 희생을 내고 물러났다. 30만발의 포탄이 쏟아져 산이 본래의 모습을 잃어버렸으며 12번이나 뺏고 빼앗기는 치열한 접전이 계속되었다. 

발사된 포탄수는 아군 219,954발, 적군 55,000발 등 총 274,954발이다. 결국 세계 전사상 전례가 없을만큼 처절한 포격전, 수류탄전, 백병전을 10일 주야로 반복한 끝에 이 고지를 아군이 차지했다.
   . 이처럼 전투가 치열할 수 밖에 없었던 것에는 백마고지(White Horse Hill, Hill 395)가 점령당할 경우 철원을 방어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전략적 요충지 였기 때문이다.

   . 6.25전쟁중 한국군의 가장 큰 승리였으며 중부 전선에서 한국군이 당하고 있던 수세 일변도를 뒤집어 놓은 전투이다. 백마고지는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그 주변이 평야이고 평강, 철원, 김화 이 세곳, 속칭 철의 삼각지 차지하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 한 곳이라고 할 수 있었다.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신탄리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걸쳐 있는 산.
높이 832m. 경원선 철도가 휴전선에 막혀 멈춘 곳에 이 산이 솟아 있다. 경기도 최북단인 연천군 신서면 신탄리와 강원도 철원군 사이에 있는 정상에서는 북녘의 철원평야와 6·25 때 격전지인 백마고지(白馬高地), 금학산(金鶴山:947m)과 지장봉(地藏峰:877m)·북대산(北大山)·향로봉(香爐峰)은 물론 한탄강(漢灘江) 기슭의 종자산(種子山)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광주산맥(廣州山脈)의 지맥으로 동부산지를 이루며, 화강편마암계 산답게 암반과 암릉이 발달되어 있다. 북동쪽 골짜기의 표범폭포에서 흐르는 물이 동막골계곡과 유원지를 지나 동서방향으로 흘러 남북주향의 산지를 돌아 차탄천(車灘川)과 합류, 북에서 남으로 전곡을 거쳐 한탄강으로 흐르다가 임진강(臨津江)으로 들어간다.         
    
                       

                                               ○10:20 금학정(금학산 입구)

                                         ○11:08 매바위

                                         ○12:07 얼굴바위

                                         ○12:23 금학산 정상(947m)

                                         ○13:01 대소라치 고개

                                               (13:40 점심식사~14:40)

                                         ○14:55 보개산 정상(752m)

                                         ○16:15 고대산 정상(832m)

                                         ○16:30 대광봉(800m)

                                         ○16:51 칼바위 능선

                                         ○17:20 말등바위

                                         ○17:54 고대산 매표소 입구

                                         ○18:10 욕쟁이 할머니집 뒷풀이

                                         ○19:00 신탄리역에서 열차로 귀경  

 

                                                                                 철도    종단역    신탄리역

 

 

 

 

 

 

 

 

 

 

 

 

 

 

 

 

 

 

 

 

 

 

 

 

 

 

 

 

 

 

  

 

 

 

 

 

 

 

 

 

 

 

                                                                 

 

 

 

 

 

 

 

 

 

 

 

 

 

                                                     보물이  에  덮혀   보물  찿찿찿찿찿차기가 여간  어려운게  아니다.

 

 

                                                                       세월의 흐름에  닳고  닳은  매바위     

 

 

                                                         나무가지  언덕위로   모여든  올챙이 알 같은   홀씨들

 

 

                                                             일단    필림 도장  찍자구~~~ 꼬~ㅏ ㅇ      

                                                 

 

 

 

 

 

  

 

 

 

 

 

 

 

 

 

 

        이곳 막사에서  점심  맛나게 먹고  다른   사람들이  버린  엄청 많은  보물 들을  우리  친구들이  다  갖고 왔어요~우리  친구들  넘~보원

                                                                  

 

                                                      다른 사람이   버리고 간   쓰레기까지  수거했다.                작가  정 재황

 

 

                                       모두들  쓰레기를  안고 ~~   달고 ~~ 배낭에  지고   잠시  한바탕  흥겨워하고있다.

 

 

 

 

                  

 

                                               

                대장님의  물메기탕  순애의  김치찌게  장군의  어묵탕  우의짱의  특라면탕등  산행중  제일  맛나고  제일  푸짐하게  먹었습니다. 

 

 

 

 

 

 

 

 

   

 

 

 

 

 

 

 

 

 

 

 

 

 

 

 

 

 

                                               행복한  살 인미소    매서운  바람이 부는  칼바위  능선을  녹여주고 싶어요~~

 

 

 이곳에서  백마고지  김일성 고지와  철의 삼각지  전망해야  하는데   눈이 와    고지들이  잘 있다는   연락만 받고  전망확인은  내년이후로  연기  

 

                                                              이곳에서  보면

 

 

                                                           

               

고대산 정상에서 바라본 백마고지와 김일성고지가 눈 앞에 손에 잡힐 듯이 가까이에 있습니

사진 가운데 지점의 뾰족하게 솟은 바위산이 김일성고지이고, 그 앞쪽의 부드럽게 길게 이어지는 낮은 능선마고지다.                                                                                                                                                                                                                                                                                                오늘은  눈이와  아무것도  안보입니다.

 

 

 

 

 

                  무엇을  찿얻으러   그리도  힘든길을  헤메이십니까?..... 삶의  행복과 열심히 사는 자신을  만나려가는 건 아닌지 ~~~~~   

 

  

 

                                                      아가씨 옆에서   쓰레기 담은 비닐로  눈썰매 타는   키큰아이   유~노

 

 

 

 

 

 

 

 

                                                                        뒷풀이는   욕장이  할머니집에서                                                                  

                                              한사람도  넘어지지않고  안전 산행 한  대장을 비롯한    모든  친구들을  위하여~~  위하여